블랙 프라이데이가 있는 11월 넷째 주가 되면 미국 대륙은 설렘과 기대로 들썩입니다. <br /> <br />최대 80~90%에 달하는 할인 행사에 이른바 명품 브랜드까지 참여하다보니 고객들이 긴 줄을 서는 진풍경도 펼쳐집니다. <br /> <br />업체는 싸게 많이 팔아 이익을 남기고 고객은 싼 가격에 상품 구매가 가능해 서로에게 '윈윈'인 셈이죠. <br /> <br />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광군절도 마찬가지인데요. <br /> <br />매년 11월 11일 광군절엔 대대적인 할인행사가 펼쳐집니다. <br /> <br />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지난해 광군절 하루에만 28조 원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해 한국판 쇼핑관광축제를 만들겠다며 3년전 야심차게 출발한 '코리아 세일 페스타'가 오늘 개막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통상자원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인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행사 규모는 갈수록 줄어들고 소비 진작에도 별 효과가 없다는 볼멘소리가 시작부터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참여 기업과 예산, 행사 기간이 예년보다 크게 줄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참여 기업은 지난해 446개에서 올해 231개로 반토막이 났고, 예산도 지난해 51억 원의 67% 수준인 34억 5천만 원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행사 기간도 34일에서 열흘로 3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짧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 축제는 추석 성수기가 끝난 직후에 열리는데다, 백화점 정기 세일 기간과도 맞물렸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나라보다 할인 폭이 크지 않고 고급 브랜드의 참여도 적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부족하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업체와 소비자의 외면 속에 시작 첫날부터 허울뿐인 행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92815124284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